본문 바로가기

나는 고양이라니까

(60)
영역 이 방이야. 내가 이 집에서 마지막으로 접수해야 할 영역이지. 언제부터인가 내가 이 방문을 마음대로 여닫을 수 있게 되자 아빠 양반은 문고리를 바꾸더군. 알레르기 때문에 이 방만큼은 내 털이 들어와서는 안 된다나? 핑계일 뿐이고 병약한 수컷들이나 하는 비겁한 행위라고 생각해. 늘 그렇잖아. 인간들은 그저 무섭고 두려울 뿐이면서 그럴싸한 핑계로 자기를 보호하더라고. 못난 자신을 좀처럼 인정할 줄 모르지. 그 연약함이 안타까워. 야옹.
작명 누나가 식빵자세, 식빵자세 하길래 뭔가 했어. 참나 어이없더군. 상식적으로 고양이가 먼저야 빵, 그것도 식빵이 먼저야? 인간이 빵을 먹은 기간이라 해봤자 고대 이집트로 잡아도 몇천 년, 식빵은 기껏 1900년대부터 먹었다고. 그러니까 고결하고 우아하며 유서 깊은 고양이 자태를 식빵 따위에 비유할 게 아니라, 그 구운 반죽 덩어리를 ‘고양이빵’이라고 부르는 게 마땅하지. 인간들에게 작명 감각까지 기대하지 않는데, 우리 예의는 갖추자고. 야옹.
공감 혼자 있던 집에 누나라는 아이가 학교에서 돌아오면 아주 세심하게 관찰하게 돼. 구겨진 옷, 젖은 등, 붉은 볼을 보며 오늘 밖에서 좀 뛰어 놀았다는 것을 알지. 약간 튀어나온 입술, 쿵쿵거리는 걸음, 내려 깐 눈을 보며 속상한 일이 있었다는 것도 알아. 그럴 때면 살짝 몸을 기대거나 꼬리로 훑으며 달래 줘. 공감은 고양이가 지닌 미덕이거든. 인간은 공감을 뭐 대단한 것처럼 얘기하지만 그 시작은 섬세한 관찰이야. 그런 점에서 아빠 양반이 딸에게 공감한답시고 오늘 무슨 일 있었냐고 계속 묻는 꼴을 보면 아주 한심하기 짝이 없어. 야옹.
위선 하루는 아빠 양반이 집에 갇혀 사료만 먹어야 하는 내 처지를 측은하게 여기더군. 자연스럽지 않다나? 말은 저렇게 해도 내가 밖에서 생쥐나 참새를 물어와서 먹어 봐. 아빠 양반은 질겁하며 함께 살지 않는다에 내 왼쪽 수염과 전 사료를 걸어. 반면 엄마는 말없이 건식 사료와 습식 간식, 때로는 과일 조각도 챙겨 줘. 그나마 줄 게 이 정도라며. 그러니까 사랑은 머리 굴리면서 멘트 치며 뻥카 날리는 게 아니라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을 다하는 거라고 생각해. 아빠 양반 말은 위선이지 뭐. 야옹.
누나 저 누나라는 아이는 민첩하지도 않고 높이 뛰지도 못해. 운동능력은 나보다 한참 떨어지지. 스스로 홀로 사색하며 세계를 이해하는 고양이와 달리 쟤는 밖에서 다른 인간과 섞여서 남들에게 배우나 봐. 아빠 양반이 새끼 제대로 키우려면 고양이만큼 홀로 사색하는 시간을 보장해야 해. 그나저나 모든 게 부족한 저 아이가 누나인 이유가 있어. 내 응가를 치우고 간식을 챙겨주거든. 기브 앤 테이크 알지? 야옹.
수신(修身) 아빠 양반이 그러더군. 하늘이는 '수신' 하나는 확실하다나? 항상 몸을 핥고 닦으며 맵시를 내는 게 중요 일과니 뭐. 사실 고양이만큼 수신에 성실한 생물도 없지. 그나저나 아빠 양반은 내가 '수신제가치국평천하' 같은 말도 모르는 줄 아나 봐. 저 쉬운 말조차 이해 못하는 쪽은 인간인데. 아빠 양반만 봐도 세상 돌아가는 일을 막 평해. 나라 일에 치를 떨고 나서 집안일을 하지. 마지막에 가까스로 씻더라고. 그러니까 '평천하치국제가수신'이잖아. 일에는 순서가 있는데 뭐가 중요한지 전혀 몰라. 아주 한심해. 야옹.
높은 곳 고양이가 높은 곳을 향하려는 마음은 인간과 근본부터 달라. 우리는 높은 곳에서 세상과 대상을 넓게 바라보고 깊게 이해하지. 사색하면서 자신을 성찰해. 인간은 그냥 내려다보고 싶은 것 같아. 높이 오를수록 시야는 좁아지고 이해는 얕아지지 않나? 성찰 따위는 개뿔. 그러니까 아빠 양반, 내려다보지 말라고. 야옹.
성숙 한 생명이 얼마나 성숙한지 알아채는 방법은 그렇게 어렵지 않아. 싫어하는 대상에게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로 쉽게 측정되지. 좋아하는 대상 앞에서야 뭔 말이든, 뭔 짓이든 못 하겠어? 그런 점에서 아빠 양반은 미숙해. 나도 아빠 양반이 날 싫어한다는 거 알면서도 멍멍이(아! 자존심) 소리 들어가며 다가가는데, 아빠 양반은 늘 싫은 티를 내거든. 미숙하고 또 미숙한 거지. 야옹.